가장 중요한 단축키 Shift + F1

Programming/UE4 2015. 10. 31. 21:49

https://docs.unrealengine.com/latest/KOR/Engine/UI/LevelEditor/InEditorTesting/index.html

 

기본적으로 독립형 창에서의 플레이는 게임에 마우스 콘트롤이 자동으로 넘어갑니다. Shift+F1 키를 눌러 마우스 커서 콘트롤을 되찾을 수는 있습니다.

'Programming > UE4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pawnActor - Blueprint Class  (0) 2015.11.15
C++ 파일 추가 후 삭제  (0) 2015.11.12
모바일  (0) 2015.04.06
back button  (0) 2015.04.05
UMG UButton with Release Event  (0) 2015.03.13

Windows Heap Overrun Monitoring

Programming/VisualStudio 2015. 7. 9. 16:12

'Programming > VisualStudi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VAssistX.RefactorCreateImplementation  (0) 2017.03.19
Python 사용하기  (0) 2016.03.21
Show build time  (0) 2015.02.05
Productivity Power Tools 2013  (0) 2014.11.21
SAL 이해  (0) 2014.11.10

D3DXFX_LARGEADDRESS_HANDLE

Programming/C/C++ 2015. 6. 4. 10:32

-. 32bit 프로세스에서 최대 4G까지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 링크 옵션.

-. 의외로 기존 개발자 중에 이 옵션을 모르는 개발자들이 많다.

-. 64bit가 가야 할 길이지만 현실은 그리 만만하지 않다.

 


1. 켜는 법

-. EXE 프로젝트 속성창/구성 속성/링커/시스템 항목에 큰 주소 처리를 켠다.

(DLL 프로젝트는 변경해도 의미가 없다.)

2. 추가 작업

-. 전처리기에 D3DXFX_LARGEADDRESS_HANDLE 매크로 정의

-. D3DXGetShaderConstantTable() => D3DXGetShaderConstantTableEx() 로 변경 후

플래그에 D3DXCONSTTABLE_LARGEADDRESSAWARE 추가.

-. 쉐이더 이펙트 생성시 D3DXFX_LARGEADDRESSAWARE 추가.

-. 이펙트 핸들 이름으로 스트링 사용 금지.

출처:LAA <- 오타 많음

 

https://msdn.microsoft.com/ko-kr/library/windows/desktop/bb172855(v=vs.85).aspx

http://www.slideshare.net/devcatpublications/10ndc2012 <- 여기도 오타 있음

 

이펙트 핸들 이름으로 스트링 사용 금지

D3DXFX_LARGEADDRESSAWARE Enables the allocation of an effect resource into the uppder address space of a machine. One important limitation is that you cannot use strings and handles interchangeably. For example, the following would no longer work.
Copy

g_pEffect->SetMatrix( "g_mWorldViewProjection", &mWorldViewProjection );

Instead, a method such as GetParameterByName must be used to store the handle of the parameter, which is then used to pass variables to the effect.
위 링크 중 전형규님께서 알려주신 내용입니다.

 

'Programming > C/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and() 알고리즘  (0) 2016.03.31
국가 코드 얻기  (1) 2015.01.13
StackWalk  (0) 2014.11.10
HeapValidate function  (2) 2014.08.21
CPUInfo  (0) 2014.07.22